저변동성 퀀트 전략, 고수익 가능할까? 2010~2024년 백테스트 결과 공개
2025. 5. 31. 09:13ㆍQuantitative-Analyst
반응형
저변동성 퀀트 전략, 고수익 가능할까?
변동성 필터를 적용한 2010~2024년 백테스트 결과 공개
퀀트 투자 전략은 다양한 팩터를 조합해 만들어집니다.
지금까지 저PER, 저PBR, 모멘텀, 배당, 업종 분산, 시가총액 필터 등을 적용해보며 전략의 변화를 살펴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 가지 관점을 더 추가해봅니다.
바로 ‘변동성(Volatility)’ 필터입니다.
❓ 왜 변동성을 고려해야 할까?
고수익을 내는 종목은 대개 변동성도 높습니다.
하지만 고변동성 종목은 급등할 수도 있지만 급락도 잦아 심리적, 실전적 부담이 큽니다.
반면 저변동성 종목은 시장 하락기에도 낙폭이 적고, 꾸준한 우상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금융 이론에서 **Low Vol Anomaly (저변동성 효과)**는 잘 알려진 팩터 중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기존의 퀀트 전략에 ‘변동성 필터’를 추가하면
성과는 어떻게 바뀔까요?
⚙️ 전략 구성 조건
항목/조건
기본 전략 | 저PER + 저PBR + 모멘텀 + 배당 + 업종 분산 |
비교 전략① | 변동성 필터 無 (기본 전략) |
비교 전략② | 변동성 필터 有 (기본 전략 + 1년간 변동성 하위 50%) |
종목 수 | 20개, 동일 비중 |
리밸런싱 | 6개월 |
백테스트 기간 | 2010년 1월 ~ 2024년 3월 |
기준지수 | KOSPI (총수익 기준) |
변동성 산출 방식 | 일간 수익률의 1년 표준편차 (252거래일 기준) |
📊 백테스트 결과 요약 (2010~2024)
✔ 저변동성 필터를 적용한 전략이 수익률과 안정성 모두에서 우세했습니다.
✔ 최대 낙폭이 줄어들고, 샤프지수가 상승해 위험 대비 효율이 높아졌습니다.
🔍 전략 해석: 단순히 안전한 게 아닌, 효율적이다
🔹 장점
- 시장 하락기 방어에 탁월
- 심리적으로 버티기 쉬운 포트폴리오
- 변동성이 낮다고 수익률이 낮은 건 아니다
- 실전 운용에 적합 (낙폭 스트레스 ↓)
🔹 단점
- 과거 변동성이 미래 리스크를 보장하지 않음
- 고수익 기회를 놓칠 수도 있음 (고변동성 대박주 미포함)
💡 실전 적용 팁
- 퀀트 전략에 변동성 필터를 넣을 때는 지나치게 좁게 잡지 말 것
(예: 하위 20%보다 40~60% 구간이 안정적) - 변동성 산출은 1년 수익률 표준편차 기준이 일반적
- 포트 전체의 누적 변동성도 점검 (개별 종목 아닌 포트 기준)
- 고배당+저변동성 전략과 결합도 추천
✅ 결론: 퀀트 전략의 마지막 퍼즐, ‘안정성’
퀀트 전략은 수익률만큼이나 안정성도 중요합니다.
낙폭을 줄이고 꾸준한 복리 효과를 누리려면 변동성 필터는 매우 유용합니다.
이번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것처럼,
**저변동성 전략은 단순히 ‘안전한 전략’이 아니라 ‘더 효율적인 전략’**일 수 있습니다.
참고: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손실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Quantitative-Analy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형주 퀀트 전략, 리밸런싱 주기 따라 수익률이 달라질까? (2010~2024 백테스트) (2) | 2025.06.01 |
---|---|
퀀트 소형주 전략, 리밸런싱 주기 따라 수익률이 달라질까? (3개월 vs 6개월 vs 12개월) (0) | 2025.05.31 |
소형주 vs 대형주, 퀀트 전략에 시가총액 필터를 넣으면 수익률이 어떻게 달라질까? (0) | 2025.05.30 |
퀀트 전략에 업종 필터를 넣으면 수익률이 안정될까? | 섹터 분산 전략의 효과 분석 (1) | 2025.05.30 |
PER·PBR에 모멘텀·배당을 더한 퀀트 전략, 수익률은 어떻게 달라질까? (1) | 2025.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