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PBR에 모멘텀·배당을 더한 퀀트 전략, 수익률은 어떻게 달라질까?

2025. 5. 29. 17:43Quantitative-Analyst

반응형

PER·PBR에 모멘텀·배당을 더한 퀀트 전략, 수익률은 어떻게 달라질까?

가치 + 모멘텀 + 배당의 삼각 전략 분석

퀀트 투자의 매력은 감정을 배제하고 통계적 규칙으로 움직인다는 점입니다.
앞서 살펴본 저PER+저PBR 전략과, 여기에 모멘텀 필터를 추가한 전략은 일정 수준 이상의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배당 수익률 조건’을 추가한 퀀트 전략을 소개합니다.
즉, "가치주 중에서 주가 흐름이 좋은 기업, 그리고 배당까지 잘 주는 기업에 투자하면?"이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는 시간입니다.


📊 전략 구성 요약

전략 구성

📈 백테스트 결과

백테스트 결과

➡️ 결론: 배당 수익률 조건을 더하자 수익률이 한층 향상되었고, 위험 대비 성과(샤프지수)도 개선되었습니다.


🔍 전략의 의미와 효과

✅ 배당 필터의 역할

  • 배당을 지속적으로 지급하는 기업은 재무 상태가 안정적일 가능성이 높음
  • 가치 함정(Value Trap) 종목 필터링에 도움
  • 하방 방어력(주가 급락 시 충격 완화) 역할

✅ 심리적 안정성도 향상

  • 투자자 입장에서 ‘배당금’은 현금 흐름의 존재를 직접 느끼게 함
  • 장기 투자 지속성에 긍정적 영향

💡 실전 적용 팁

  • 네이버금융 등에서 PER, PBR, 배당 수익률 조건으로 필터링 가능
  • 배당 수익률은 1년 이상 지속 지급된 종목만 포함하는 것이 안전
  • 모멘텀은 최근 3~6개월 수익률 기준, 가급적 급등한 종목은 피하기
  • 6개월 리밸런싱 기준으로 1년에 2번만 점검해도 충분

📌 마무리하며

PER과 PBR이라는 가치지표, 주가 추세를 반영한 모멘텀, 그리고 실질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하는 배당 수익률까지.
이 세 가지 요소를 결합한 퀀트 전략은 단순한 저평가 종목 투자보다 훨씬 정교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장기 투자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퀀트 전략도 ‘편식’은 위험하다는 점, 놓치지 마세요!

 

참고: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손실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