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PBR에 모멘텀·배당을 더한 퀀트 전략, 수익률은 어떻게 달라질까?
2025. 5. 29. 17:43ㆍQuantitative-Analyst
반응형
PER·PBR에 모멘텀·배당을 더한 퀀트 전략, 수익률은 어떻게 달라질까?
가치 + 모멘텀 + 배당의 삼각 전략 분석
퀀트 투자의 매력은 감정을 배제하고 통계적 규칙으로 움직인다는 점입니다.
앞서 살펴본 저PER+저PBR 전략과, 여기에 모멘텀 필터를 추가한 전략은 일정 수준 이상의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배당 수익률 조건’을 추가한 퀀트 전략을 소개합니다.
즉, "가치주 중에서 주가 흐름이 좋은 기업, 그리고 배당까지 잘 주는 기업에 투자하면?"이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는 시간입니다.
📊 전략 구성 요약
📈 백테스트 결과
➡️ 결론: 배당 수익률 조건을 더하자 수익률이 한층 향상되었고, 위험 대비 성과(샤프지수)도 개선되었습니다.
🔍 전략의 의미와 효과
✅ 배당 필터의 역할
- 배당을 지속적으로 지급하는 기업은 재무 상태가 안정적일 가능성이 높음
- 가치 함정(Value Trap) 종목 필터링에 도움
- 하방 방어력(주가 급락 시 충격 완화) 역할
✅ 심리적 안정성도 향상
- 투자자 입장에서 ‘배당금’은 현금 흐름의 존재를 직접 느끼게 함
- 장기 투자 지속성에 긍정적 영향
💡 실전 적용 팁
- 네이버금융 등에서 PER, PBR, 배당 수익률 조건으로 필터링 가능
- 배당 수익률은 1년 이상 지속 지급된 종목만 포함하는 것이 안전
- 모멘텀은 최근 3~6개월 수익률 기준, 가급적 급등한 종목은 피하기
- 6개월 리밸런싱 기준으로 1년에 2번만 점검해도 충분
📌 마무리하며
PER과 PBR이라는 가치지표, 주가 추세를 반영한 모멘텀, 그리고 실질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하는 배당 수익률까지.
이 세 가지 요소를 결합한 퀀트 전략은 단순한 저평가 종목 투자보다 훨씬 정교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장기 투자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퀀트 전략도 ‘편식’은 위험하다는 점, 놓치지 마세요!
참고: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손실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Quantitative-Analy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형주 vs 대형주, 퀀트 전략에 시가총액 필터를 넣으면 수익률이 어떻게 달라질까? (0) | 2025.05.30 |
---|---|
퀀트 전략에 업종 필터를 넣으면 수익률이 안정될까? | 섹터 분산 전략의 효과 분석 (1) | 2025.05.30 |
저PER 저PBR 전략에 모멘텀을 더하면 수익률이 달라질까? | 퀀트 투자 심화 분석 (0) | 2025.05.29 |
저PER 저PBR 전략으로 투자하면 수익률이 높을까? | 퀀트 투자 실증 분석 (3) | 2025.05.28 |
미국 ETF로 부를 쌓는 퀀트 포트폴리오: VOO, QQQ, SCHD 완벽 가이드 (6) | 2025.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