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PER 저PBR 전략에 모멘텀을 더하면 수익률이 달라질까? | 퀀트 투자 심화 분석

2025. 5. 29. 08:07Quantitative-Analyst

반응형

저PER 저PBR 전략에 모멘텀을 더하면 수익률이 달라질까?

가치 + 모멘텀 결합 전략의 백테스트 결과 분석

지난 포스팅에서는 저PER+저PBR 전략이 장기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이 전략에도 단점이 있었죠. 예를 들어 ‘가치 함정(Value Trap)’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이나, 실현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런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퀀트 투자자들이 자주 활용하는 것이 바로 모멘텀 필터입니다.


💡 모멘텀 필터란?

모멘텀은 주가 상승 추세를 따르는 투자 전략입니다.
단기든 중기든, 최근 몇 개월 동안 주가가 오른 종목은 앞으로도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통계적 기반에서 출발합니다.

즉, 재무적으로 저평가된 종목 중에서도 주가 흐름이 좋은 종목만 고르겠다는 전략입니다.


⚙️ 전략 조건 설정

  • 기본 전략: PER과 PBR 모두 하위 30% 종목
  • 모멘텀 조건 추가: 최근 6개월 주가 상승률 상위 50%만 포함
  • 기간: 2013년 ~ 2023년
  • 포트폴리오 구성: 20종목, 6개월마다 리밸런싱
  • 제외 조건: 관리종목, 거래정지, 시총 하위 10% 제외

📊 수익률 비교

수익률비교

➡️ 결론: 모멘텀 필터를 적용한 전략이 더 높은 수익률과 위험 대비 성과(샤프지수)를 보였습니다.


🔍 전략 변화의 핵심 포인트

  • 저평가 + 상승 흐름 조합은 가치주 중에서도 ‘실제 반등 조짐 있는 종목’만 걸러낼 수 있음
  • 불필요한 ‘가치 함정’ 제거에 효과적
  • 리스크는 약간 증가하지만, 수익률과 안정성이 동반 상승

✅ 적용 팁: 실전에서 쓸 수 있는 방법

  • 퀀트 사이트나 툴에서 PER, PBR 기준 종목 필터링
  • 이후 최근 3개월~6개월 상승률 기준으로 종목 추려보기
  • 리밸런싱은 너무 자주 하기보단 분기 또는 반기 단위 추천
  • 가능하다면 **분산 투자(20종목 이상)**로 리스크 관리

📌 마무리하며

가치주 퀀트 전략은 그것만으로도 훌륭하지만, 모멘텀이라는 보조 지표를 더하면 ‘싸면서도 살아 움직이는 종목’을 선별할 수 있습니다.

이번 전략은 퀀트 초보자와 중급자 모두에게 실전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퀀트 전략에 배당 수익률 조건을 추가하면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를 다뤄보겠습니다. 가치+모멘텀+배당의 삼각 전략, 기대해주세요!

 

참고: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손실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