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5. 25. 08:07ㆍQuantitative-Analyst
투자에도 두 갈래 길이 있다
“주식을 잘하려면 뉴스를 많이 봐야 하나요?”
“차트를 보고 감 잡는 게 중요하죠?”
이런 질문들,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런 접근은 흔히 말하는 **‘전통적 투자 방식’**입니다. 반면, 최근 각광받고 있는 방법이 바로 **‘퀀트 투자(계량 투자)’**입니다.
그렇다면 이 둘은 도대체 뭐가 다를까요?
오늘은 퀀트 투자와 전통 투자의 차이를 명확히 정리해보겠습니다.
📊 전통 투자 방식: 사람의 직관과 경험 중심
전통 투자는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가치 투자", "차트 분석", "뉴스 해석" 등의 방법을 포함합니다.
이 방식의 핵심은 사람의 판단입니다.
- 워렌 버핏처럼 기업의 가치를 분석하고 투자하거나
- 기술적 분석가처럼 캔들과 이동평균선을 활용해 매매 타이밍을 찾는 등
각 투자자의 경험, 직관, 통찰력이 전략의 중심입니다.
✅ 장점
- 시장의 정성적인 정보(뉴스, 심리 등)를 반영할 수 있음
- 유연한 의사결정 가능
- 장기적인 투자철학에 맞는 종목 선별 가능
❌ 단점
- 감정에 휘둘리기 쉬움 (공포, 탐욕, 기대 등)
- 일관성 유지 어려움
- 데이터 기반 분석의 부재로 객관성 부족
🤖 퀀트 투자 방식: 알고리즘과 데이터 기반
퀀트 투자란 수학, 통계, 프로그래밍을 활용해 투자 규칙을 수치화하고,
그 전략을 바탕으로 자동적으로 종목을 선정하고 포트폴리오를 운용하는 방식입니다.
예:
- PER이 낮고 ROE가 높은 종목 상위 20개를 매수
- 최근 6개월 수익률이 높은 종목 10개에 투자 (모멘텀 전략)
- 분산 투자 + 리밸런싱 전략을 자동 실행
✅ 장점
- 인간의 감정을 배제한 일관된 투자 실행
- 과거 데이터를 통해 전략 검증(백테스트) 가능
- 자동화 가능 → 시간 절약
❌ 단점
- 정성적 정보(예: 뉴스, 산업 전망) 반영이 어려움
- 초기 전략 설계에 시간과 지식 필요
- 시스템 오류나 과최적화(overfitting) 위험
🆚 한눈에 비교

🎯 나에게 맞는 방식은?
✔ 전통 투자는 장기적으로 기업에 대한 철학적 신념이 있는 투자자, 또는 정성적 정보에 강한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 퀀트 투자는 감정 없이 데이터 중심의 투자를 지향하거나, 일관된 전략을 반복 실행하고 싶은 투자자에게 더 적합합니다.
물론 둘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투자자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퀀트로 종목을 걸러내고, 마지막은 사람이 판단’하는 방식도 매우 유효하죠.
✅ 마무리
주식 시장에 정답은 없습니다. 중요한 건, 나에게 맞는 투자 방식을 찾고,
그 방식에 대해 깊이 이해하는 것입니다.
“감정이 아닌 데이터에 기반한 투자를 하고 싶다면” — 퀀트는 훌륭한 도구가 되어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세상의 흐름을 읽고 그 안에서 기회를 잡고 싶다면 전통 방식이 더 편할 수도 있습니다.
'Quantitative-Analy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PER 저PBR 전략으로 투자하면 수익률이 높을까? | 퀀트 투자 실증 분석 (3) | 2025.05.28 |
---|---|
미국 ETF로 부를 쌓는 퀀트 포트폴리오: VOO, QQQ, SCHD 완벽 가이드 (6) | 2025.05.27 |
🎯퀀트 투자의 첫걸음, 통계부터 시작하자! (0) | 2025.05.26 |
가치부터 저변동성까지, 퀀트 전략의 핵심 팩터 총정리 (1) | 2025.05.25 |
퀀트 투자란 무엇인가? 데이터로 투자하는 시대의 시작 (5) | 2025.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