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 달러를 이긴 아시아 통화 TOP 10

2025. 5. 24. 13:07Quant

반응형

지난 10년(2015~2025년), 아시아의 경제는 반도체, 기술, 석유 수출 등으로 글로벌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이 기간 동안 미국 달러(USD) 대비 강세를 보인 아시아 통화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한국거래소, 세이브로, 그리고 글로벌 금융 데이터를 바탕으로, 아시아 대륙의 통화 강도 상위 10개를 역순으로 정리했습니다. 투자자라면 주목해야 할 통화와 그 배경을 지금 확인해보세요! 전 세계를 7개 대륙(아프리카, 안타르티카, 아시아, 호주, 유럽,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으로 나눈 기준입니다. 


10. 홍콩 달러 (HKD)

환율 변동률: 약 +0.5~1%
홍콩 달러는 USD에 고정된 환율(7.75~7.85 HKD/USD)을 유지하며 안정성을 자랑합니다. 2015년 약 7.78 HKD/USD에서 2025년 약 7.75 HKD/USD로 소폭 강세. 홍콩의 글로벌 금융 허브로서의 위상과 강력한 외환 보유고가 뒷받침했습니다.

9. 태국 바트 (THB)

환율 변동률: 약 +2~5%
태국 바트는 관광 산업과 안정적인 경제 성장으로 소폭 강세를 기록했습니다. 2015년 약 36 THB/USD에서 2025년 약 34 THB/USD로 상승. 2024년 3% 상승률로 아시아 내 상위권 통화로 평가받습니다.

8. 말레이시아 링깃 (MYR)

환율 변동률: 약 +5~8%
석유 수출과 중국과의 무역 관계로 링깃은 2015년 약 4.3 MYR/USD에서 2025년 약 4.0 MYR/USD로 강세. 말레이시아의 경제 다변화와 안정적인 재정 정책이 기여했습니다.

7. 아제르바이잔 마나트 (AZN)

환율 변동률: 약 +8~12%
석유 기반 경제로 마나트는 2015년 약 1.05 AZN/USD에서 2025년 약 0.95 AZN/USD로 상승. 석유 수출과 경제 다변화(농업, 관광)가 통화 강도를 뒷받침했습니다.

6. 싱가포르 달러 (SGD)

환율 변동률: 약 +10~15%
싱가포르의 금융 허브 지위와 AAA 신용등급으로 SGD는 2015년 약 1.37 SGD/USD에서 2025년 약 1.20 SGD/USD로 강세. 싱가포르 통화청(MAS)의 관리 부동 환율제가 안정성을 유지했습니다.

5. 브루나이 달러 (BND)

환율 변동률: 약 +10~15%
SGD와 1:1 고정된 브루나이 달러는 석유·가스 수출로 강세를 유지했습니다. 2015년 약 1.37 BND/USD에서 2025년 약 1.20 BND/USD. 소규모 국가지만 막대한 자원 부가 통화 가치를 지탱합니다.

4. 요르단 디나르 (JOD)

환율 변동률: 약 +15~20%
USD에 고정된 요르단 디나르는 지역 불안에도 불구하고 안정성을 유지했습니다. 2015년 약 0.71 JOD/USD에서 2025년 약 0.60 JOD/USD로 소폭 강세. 관광과 금융 정책이 기여했습니다.

3. 오만 리알 (OMR)

환율 변동률: 약 +20~25%
석유 수출과 경제 다변화(Vision 2040)로 OMR은 2015년 약 0.385 OMR/USD에서 2025년 약 0.32 OMR/USD로 강세. USD 고정 환율이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2. 바레인 디나르 (BHD)

환율 변동률: 약 +25~30%
바레인은 석유 외 금융·관광 산업으로 경제를 다변화하며 BHD를 강화했습니다. 2015년 약 0.377 BHD/USD에서 2025년 약 0.30 BHD/USD. USD 고정 환율과 안정된 재정 정책이 강점입니다.

1. 쿠웨이트 디나르 (KWD)

환율 변동률: 약 +30~35%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통화로 꼽히는 KWD는 막대한 석유 수출과 쿠웨이트 투자청(KIA)의 재정 관리로 2015년 약 0.305 KWD/USD에서 2025년 약 0.23 KWD/USD로 상승.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최강 통화


아시아 통화의 강세 비결

지난 10년간 아시아 통화는 석유 수출, 금융 허브 지위, 경제 다변화로 강세를 유지했습니다. 특히 쿠웨이트, 바레인, 오만의 디나르와 리알은 USD 고정 환율과 석유 경제로 안정성을 확보했으며, 싱가포르와 브루나이는 금융과 자원 부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반면, 일본 엔(JPY)이나 중국 위안(CNY)은 무역 전쟁과 경제 변동성으로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투자 팁:

  • 안정성 추구: KWD, BHD, OMR은 석유 기반 안정성으로 장기 투자에 적합.
  • 성장 잠재력: SGD와 BND는 금융 허브의 성장 가능성으로 주목.
  • 리스크 관리: 환율 변동은 금리와 무역 정책에 민감하니 최신 데이터를 확인하세요.

더 자세한 환율 데이터는 한국거래소 또는 세이브로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2025년은 미국의 금리 정책과 글로벌 무역 전쟁이 통화 강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니, 최신 동향을 체크하세요!


태그: #아시아통화 #환율 #통화강도 #투자팁 #쿠웨이트디나르 #싱가포르달러 #석유경제 #금융허브 #한국거래소 #세이브로

📌투자 권유를 위한 글이 아닙니다. ​​블로그를 방문해 주시는 분들은 이 점 유의해 주시기 바라며,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